만성적 대사질환, 당뇨
삶의 질 저하시키는 성인병의 주범입니다.
인슐린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 결핍에 의해 혈액 내에 당분(포도당)의 농도가 정상 이상으로 높아져 소변으로 당이 배설되는 유전성 경향이 많은 만성적 대사질환으로 당질을 비롯하여 지질, 단백질 등의 대사 이상과 신경, 눈, 콩팥을 비롯한 여러 장기에 합병증을 동반하게 됩니다.
인슐린의 분비부족이나 저항성으로 인하여 혈중의 당이 올라가게 되면서 소변으로 당이 배출되고, 신세뇨관의 삼투압의 증가로 수분이 같이 배설되는 증상
다뇨로 인한 수분 손실과 지속되는 고혈당으로 인하여 혈액의 삼투압이 증가하여 갈증을 느끼게 되고 물을 자주 마시게 되는 증상
혈당은 높으나 세포의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소변으로 자꾸 빠져나가게 되며, 세포가 상대적으로 굶고 있는 상태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음식이 당겨 자꾸 먹게 되는 증상
당뇨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목표는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에 있습니다. 당뇨병의 관리는 식사 및 운동 요법, 약물 요법 등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면서 교육을 통한 환자 자신의 당뇨병에 관한 이해와 꾸준한 노력이 중요합니다.